공기가 없어야 하는 가슴 안쪽에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 기흉 초기 증상 자가진단 원인 수술 치료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기흉 개요
기흉이 생기면 폐를 찌그러뜨리며 흉통과 호흡곤란을 유발합니다.
- 크게 저절로 발생한 자연 기흉과 외상 때문에 발생한 기흉으로 나눔
- 폐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 생긴 자연 기흉은 원발성 자연 기흉,
- 기존의 폐 질환이 있던 환자에게 발생한 자연 기흉은 속발성 자연 기흉
기흉 증상 자가진단
기흉의 증상은 흉통과 호흡곤란이 대표적입니다.
- 힘든 일이나 운동 하고 있을 때보다 안정을 취하고 있을 때 많이 발생
- 순간적으로 급작스런 흉통과 호흡 곤란 호소
- 기흉 발생한 쪽에만 국한, 호흡 곤란 등 증상의 정도는 기흉의 크기에 비례
- 심한 경우 늑막강 안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져 반대편의 건강한 폐와 심장을 압박할 수 있음, 이러한 경우를 긴장성 기흉이라고 하며 혈압이 떨어지고 심한 호흡 곤란과 저산소증으로 사망할 수 있는 응급 질환
- 기흉으로 의심되는 호흡 곤란 증상 있는 경우 곧바로 응급실을 찾아야 함
- 월경성 기흉은 월경 주기에 맞추어 생기며 30세 전후의 여성에게 많이 일어나고, 월경 시작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
기흉 원인
대부분의 기흉은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폐 표면의 폐포가 저절로 터져서 발생합니다.
- 일차성 자연 기흉은 전형적으로 키가 크고 마른 남자에게 많이 발생
- 흡연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 일차성 자연 기흉 환자의 90% 이상이 흡연자라는 보고 사례가 있음
- 이차성 기흉은 폐실질에 발생한 질환이 원인이 되는 기흉을 말함
- 교통사고나 추락, 외상에 의한 폐실질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외상성 기흉,
- 수술이나 중심정맥 삽관술 같은 시술 중의 폐실질 손상으로 발생하는 의인성 기흉
- 유전학적인 요인도 최근 밝혀지며, 가족력도 관련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기흉 치료 수술
기흉의 크기가 작고 증상 심하지 않은 경우 1차 치료는 산소 투여하면서 폐의 구멍이 저절로 아물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기흉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 심한 경우에는 흉강 천자나 흉관 삽관을 하게 됩니다.
- 흉관 삽관 장점은 지속적인 공기 누출 있는 경우에도 폐의 팽창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 흡인 장치를 추가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
- 공기 누출을 막기 위해 화학적 흉막 유착술을 시행하는 방법
- 공기 유출이 일주일이상 지속되거나 재발성 기흉이 생긴 경우, 폐 양쪽에 동시에 기흉이 생기거나 엑스선 검사에서 아주 큰 공기주머니가 보이는 경우, 직업적인 요인, 혈흉, 농흉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
기흉 예방 방법
특별한 예방법은 없습니다.
- 흡연 하는 경우 재발 확률이 높기 때문에 금연을 하는 것이 원칙
- 급격한 기압 변화 예상되는 환경 비행기 탑승, 스킨 스쿠버 등 은 피하는 것이 좋음
※포스팅은 참고 하시구요.
병원 방문하셔서 기흉 의학적 검진과 판단, 치료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