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획증후군 치료 초기 증상 원인 진단 예방 방법

폐쇄된 구획 내의 조직압이 상승하여, 모세 혈관에서의 관류가 저하되는 상태 구획증후군 치료 초기 증상 원인 진단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구획증후군 개요

 

 

 

 

여러 가지 이유로 구획 안의 압력에 이상이 생기게 되고 그 주머니의 내용물 근육, 신경, 혈관이 손상을 받아 생기는 병적인 현상들이 구획 증후군입니다.

 

  • 평상시에 구획 안에 존재하는 근육들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주어진 기능을 이행
  • 구획 안의 압력은 정상적으로 일정 수준을 유지

 

구획증후군 초기 증상

 

통증, 병변 부위의 감각장애, 창백, 부종 또는 병변근육의 운동장애, 마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근육 일부분의 손상 만으로 그치면 일상 생활에 영향이 없을 수도 있음
  • 구획 안의 모든 근육의 괴사가 될 정도가 되면 그 근육의 마비가 생김
  • 초기에 문제가 있는 부위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굉장한 통증을 유발
  • 이미 조직이 괴사 되어 버린 확정형 구획 증후군의 경우 통증은 없어짐

 

 

 

 

 

구획증후군 원인

 

  • 구획압력 상승 원인은 외부로부터 근육 주위 충격을 받아 염증 반응으로 근육의 부종이 유발되는 경우
  • 단단한 물질에 의해 구획 주위를 둘러 싸여 과도하게 조이는 경우 석고 고정 이나 스타킹의 외부 압박 등
  • 근막 안으로 혈액이 들어 차는 경우, 외부에서 강한 압력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경우 등
  • 구획 안의 혈관 손상으로 피가 통하지 않는 모든 경우

 

구획증후군 치료 진단 방법

 

진단은 조직압을 꼭 측정해 봐야 한다고 합니다. 구획 증후군으로 진행하는 것이 확실하다고 판단되면, 임상적으로 추정 확진하여, 즉시 치료를 시작,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미 진행된 구획 증후군의 경우는 근전도 검사나 조직 검사를 시행 합니다.

 

임상적으로 구획 증후군이 강력히 의심되고, 조직압이 30mmHg를 넘는 경우 응급 근막 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조직압이 애매한 경우에는 지속적인 조직압 측정과 신체 검진이 필요
  • 부종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손상 부위 조이는 석고 붕대, 솜붕대 및 스타킹을 제거

 

 

 

 

구획증후군 치료 진단 방법


압력이 올라갈 수 있는 상황을 피해야 합니다.

 

  • 외상, 석고 고정이나 스타킹의 외부 압박 등을 피해야 함
  • 구획 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병원에 즉시 방문
  • 야외에서 활동하다가 어딘가에 부딪혀서 다리나 팔에 통증이 생기면서 붓는 경우에 구획 증후군을 의심

 

※구획증후군 포스팅은 참고 하시구요^^

>병원 방문하셔서 전문의에게 구획증후군 정확한 의학적 검진과 판단, 치료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