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강건조증 해결 원인 증상 치료 예방 방법

침 분비가 줄어들거나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 때문에 입 안이 마르는 증상 구강건조증 해결 원인 증상 치료 예방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구강건조증 개요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1~1.5L의 침이 분비되는데, 이보다 적게 침이 나오면 입이 마른다고 느끼게 되는 증상을 구강건조증이라고 합니다.

 

  • 침은 구강 주변에 있는 타액선이 자극을 받아 분비되는 것으로 음식을 먹을 때부터 자거나 안정을 취할 때까지 자기도 모르게 조금씩 분비되어 항상 입안을 촉촉하게 한다.
  • 입으로 숨 쉬면서 입 안 수분이 증발되면 주관적으로 구강 건조함을 느낄 수 있음

 

구강건조증 증상

 

구강 건조증 생기면 음식 씹고 삼키는 것이 더욱 힘들어지고, 음식의 맛을 잘 못 느끼게 됩니다.

 

  • 구강 건조감 심하면 말을 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음
  • 침이 소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소화 장애도 생길 수 있음
  • 맵거나 자극적인 음식을 먹으면 입 안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음
  • 치은염이나 충치 등도 더 잘 생김

 

 

 

 

구강건조증 원인

 

구강건조증의 원인은 크게 침을 분비하는 기관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경우와 다른 약물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빈혈, 당뇨 등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고 합니다.

 

  • 빈혈, 당뇨, 영양소 결핍, 노화 등 전신적인 원인에 의해 타액의 양이 줄 수 있음
  • 우울증 등 정신적인 질환도 침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음

 

구강건조증 치료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면 이를 감별하여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입마름 완화하기 위해서 인공 타액 제품을 사용
  •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사용할 수 있음
  • 구강 안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불소나 소독약이 포함된 가글린 액을 사용할 수 있음

 

 

 

구강건조증 예방 방법

 

  • 침 분비를 자극하는 껌이나 신 음식을 먹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
  • 수분을 충분히 섭취
  • 뜨겁고 건조한 곳에 오래 있는 것을 피해야 함
  • 술과 담배 또한 구강 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음
  • 침 분비 줄어들면 충치 더 잘 생길 수 있으므로 평소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

 

※ 구강건조증 포스팅은 참고 하시구요^^
>병원 방문하셔서 전문의에게 구강건조증 정확한 의학적 검진과 판단, 치료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